서랍장 구매 전 알아야 하는 5가지
1. 전도 방지 벽 고정
높이 762mm 이상 서랍장은 전도 방지 목적 벽 고정 필수
'공급자 적합성 확인 기준'에 따르면 높이 762 mm 이상 가정용 서랍장은 전도 여부를 확인하는 안정성 검사를 시행하며, 벽 고정 장치가 부착되어있거나 해당 부품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소비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기준이지만 소비자 입장에서 '벽을 뚫는다'는 것이 달갑지만은 않은 일입니다.
벽을 뚫어서 서랍장을 고정하고 나면 이후 위치 조정이 어렵다는 점도 큰 단점입니다.
4단 이상의 서랍장과 3단 서랍장 일부 제품의 높이는 762mm를 초과합니다.
그러니 서랍장 구매 시 높이가 높은 서랍장은 전도 방지를 위해 벽 고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벽 고정을 원하지 않는다면 높이가 낮은 서랍장을 구매해야 합니다.
참고로 '한샘' 서랍장의 경우 762mm 가 넘지 않는 서랍장도 설치 시 벽고정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구매자의 안전과 사고 방지을 위해 한샘에서 정한 룰인 것 같은데, 벽 고정 거부 시 설치 불가 및 반품 처리된다고 하니 꼭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제품 안전 기준 열람 - 생활용품 - 공급자 적합성 확인 https://www.safetykorea.kr/policy/standard#
2. 서랍 크기 차이
폭 800짜리 3단 서랍의 크기가 다 똑같지 않다
서랍 구매 시 설치 공간의 폭과 높이를 확인하고, 몇 단 짜리 서랍을 구매할 지 결정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서랍 크기가 다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막상 구매하고 나서 '같은 3단서랍인데 왜 옷이 덜 들어가지?' 라는 생각을 하기도 하는데, 내부 서랍 크기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수납 공간을 결정하는 서랍 1칸의 내부 크기는 폭 뿐만 아니라 깊이와 높이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폭 800짜리 몇 가지 제품의 내부 크기를 확인해보면 폭(가로)이 1-3cm 차이나며, 깊이는 최대 10cm, 높이는 최대 2cm 차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랍의 폭 뿐 아니라 내부 크기가 어떤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3. 레일 종류
싱크대나 옷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이라고 표현하는데, 그만큼 서랍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레일입니다.
서랍장이 고장나서 못 쓰게 되는 경우, 원인이 대부분 레일 파손이기 때문입니다.
의외로 서랍장 가격이 비싸다고 꼭 비싼 레일을 쓰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철레일보다 볼레일이 비싸고, 볼레일에 댐핑(쾅 소리 나지 않게 천천히 닫힘), 푸쉬(눌러서 열고 닫음) 등의 기능이 들어가면 가격이 더 높아집니다.
- 철레일 또는 백색레일
- 하얀색 철과 플라스틱 볼로 되어있음
- 서랍에 고정된 레일 아래로 서랍 몸통에 고정된 레일의 플라스틱 볼이 구르며 서랍 인출
- 장점
- 가볍게 열리고 닫힘
- 서랍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음
- 가격 저렴함
- 단점
- 의도하지 않아도 서랍 이탈 가능성 있음
- 견고함 떨어짐
- 볼레일
- 서랍 몸통에 고정된 레일에 많은 수의 볼이 들어있음
- 볼이 구르며 서랍이 열리고 닫힘
- 2단 볼레일 - 서랍을 끝까지 뺄 수 없음
- 3단 볼레일 - 서랍을 끝까지 뺄 수 있음
- 장점
- 부드럽게 열리고 닫힘
- 견고함
- 단점
- 특히 처음에 여닫기 뻑뻑함
- 서랍 분리 방법이 어려워 서랍 뒤로 물건이 빠지는 경우 빼기 힘듦
- 가격이 비쌈
- 기타
- 기능 추가에 따라 댐퍼볼레일, 푸쉬볼레일 등
4. 자재 등급
원목 서랍장이 아니라면 자재는 대부분 PB 또는 MDF 입니다.
따라서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을 나타내는 자재 등급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정용 가구는 E1등급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 자재 등급
- SE0 (Super E0) :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0.3mg/L 이하
- E0 :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0.3 - 0.5 mg/L
- E1 :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0.5 - 1.5 mg/L
- E2 :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1.5 - 2.0 mg/L
5. 서랍 디자인
서랍과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겉서랍'과 '속서랍'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겉서랍 디자인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에서는 속서랍 디자인은 서랍과 프레임이 틀어지기 쉽다고 설명하던데, 디자인 자체는 속서랍이 더 깔끔해보입니다.
- 서랍 디자인
- 겉서랍 디자인
- 서랍이 프레임 밖으로 나오는 형식
- 속서랍 디자인
- 서랍이 프레임 안 쪽으로 들어가는 형식
- 겉서랍 디자인
'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코니 창호 난간대 종류와 창호 브랜드 순위 (0) | 2022.07.18 |
---|---|
커튼 블라인드 장점 단점 차이점 비교 (0) | 2022.04.09 |
도모디자인 프레이 세라믹 식탁 세트 구매 후기 (0) | 2022.02.06 |
오코텍스(OEKO-TEX) 인증 등급 (0) | 2022.01.26 |
신소재 원단 기능성 패브릭 종류 (4) | 2022.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