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기
- 설탕은 분해 시 바로 포도당을 만들어 혈당을 빠르게 올림
- 어떤 대체'당'은 포도당과 비슷해 보여도 혈당을 빠르게 올리지 않음
- 구성 성분(화학식)이 같아도 구조(모양)가 다르면 다른 물질
다양한 대체당이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그중에는 설탕(또는 포도당)과 굉장히 비슷해 보이는 물질도 있고, 완전히 달라 보이는 물질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설탕, 포도당, 대체당의 성분(화학식)과 구조 차이를 확인해 보려고 합니다. 화학식과 구조는 직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자료로, 눈으로 봤을 때 'A와 B가 다르네' 정도로만 이해하면 됩니다.
설탕의 이해
설탕을 대체하는 대체당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설탕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여기서 설탕=수크로스(sucrose)로 쓰겠습니다.
수크로스(설탕)의 소화
이(2) 당류인 수크로스(설탕)를 섭취하면 소장에서 단(1) 당류인 글루코스(포도당)와 프럭토스(과당)로 분해됩니다. 2개가 붙어있는 것을 1개씩 쪼개 흡수한다는 의미입니다.
- 수크로스(설탕)+... → 글루코스(포도당)+프럭토스(과당)+...
혈당은 혈액 속의 글루코스(포도당) 농도입니다. 수크로스(설탕)를 섭취하면 한 번의 분해로 바로 글루코스(포도당)가 생성되므로 혈당이 빠르게 올라갑니다.
수크로스, 글루코스, 프럭토스의 화학식
C12H22O12는 C(탄소) 12개, H(수소) 22개, O(산소) 12개로 이루어져 있다는 의미입니다.
구분 | 화학식 |
수크로스 | C12H22O12 |
글루코스 | C6H12O6 |
프럭토스 | C6H12O6 |
수크로스, 글루코스, 프럭토스의 구조
화학식과 구조에서 확인할 점은 2가지입니다.
- 수크로스(설탕)의 구조 안에 글루코스(포도당)와 프럭토스(과당)가 있음
- 글루코스(포도당)와 프럭토스(과당)는 화학식(C6H12O6)은 같은데 모양이 다름
수크로스의 소화 정리
- 글루코스(포도당)와 프럭토스(과당)는 구성 성분(화학식)은 같지만 구조(모양) 차이로 식후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혈당은 혈액 속 글루코스(포도당)의 농도입니다.
글루코스(포도당)와 프럭토스(과당)는 구성 성분(화학식)은 같지만 구조(모양) 차이로 식후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다릅니다.
프럭토스(과당)는 식후 혈당을 급격하게 올리지 않기 때문에 수크로스(설탕)나 글루코스(포도당)보다 혈당 측면에서는 바람직합니다. 단, 프럭토스(과당)도 과다 섭취 시 인슐린 저항성, 비만, 대사 증후군 등의 원인이 됩니다.
대체당의 이해
대표적인 대체당의 화학식과 구조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설탕(포도당)과 대체당이 얼마나 비슷하거나 다른지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 대체당의 종류와 특징
1. 천연당의 화학식과 구조
C, H, O로만 이루어져 있으므로 개수가 어떻게 다른지 숫자만 비교하면 됩니다.
글루코스(포도당), 알룰로스, 타가토스는 화학식이 같고, 자일로스는 C, H, O의 개수가 1개씩 적습니다.
이름 | 화학식 |
수크로스 | C12H22O11 |
글루코스 | C6H12O6 |
알룰로스 | C6H12O6 |
자일로스 | C5H10O5 |
타가토스 | C6H12O6 |
글루코스와 천연당(알룰로스, 자일로스, 타가토스)의 구조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선의 위치와 모양이 다릅니다.
글루코스(포도당)와 구성 성분(화학식)이 같아도 구조가 다르면 소화 효소가 작용할 수 없고, 소화할 수 없습니다.
'소화'에 대해 이해하기 좋은 글 : 칼로리(kcal)와 제로 칼로리(0kcal)의 의미
2. 당알코올의 화학식과 구조
설탕, 포도당과 화학식이 같은 당알코올은 없습니다. 성분(화학식)이 다르니 소화가 안 되겠네 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락티톨과 말티톨, 만니톨과 솔비톨, 아라비톨과 자일리톨은 각각 화학식이 같습니다.
이름 | 화학식 |
수크로스 | C12H22O11 |
글루코스 | C6H12O6 |
락티톨 | C12H24O11 |
만니톨 | C6H14O6 |
말티톨 | C12H24O11 |
솔비톨 | C6H14O6 |
아라비톨 | C5H12O5 |
에리스리톨 | C4H10O4 |
자일리톨 | C5H12O5 |
락티톨과 말티톨, 만니톨과 솔비톨, 아라비톨과 자일리톨은 성분(화학식)이 같지만 구조가 다릅니다.
3. 감미료의 화학식과 구조
스테비아는 식물 추출 천연 감미료, 나머지는 합성 감미료입니다.
천연 감미료는 C, H, O로만 이루어져 있지만 숫자(개수)가 다르고, 합성 감미료에는 C, H, O 뿐 아니라 N, S, Cl, K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모그로사이드는 나한과, 스테비오사이드는 스테비아에서 단 맛을 내는 성분입니다.
이름 | 화학식 |
수크로스 | C12H22O11 |
글루코스 | C6H12O6 |
모그로사이드 (나한과) |
C60H102O29 |
스테비오사이드 (스테비아) |
C38H60O18 |
사카린 | C7H5NO3S |
수크랄로스 | C12H19Cl3O8 |
아세설팜칼륨 | C4H4KNO4S |
아스파탐 | C14H18N2O5 |
구조는 참고용입니다.
'건강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 사이다를 마시는 이유 (0) | 2024.11.13 |
---|---|
제로 음료 진짜 괜찮을까? 감미료의 유해성 논란 정리 (1) | 2024.11.12 |
대체당의 종류와 특징 (4) | 2024.11.10 |
칼로리(kcal)와 제로 칼로리(0kcal)의 의미 (0) | 2024.11.09 |
설탕과 대체당에 대한 오해와 진실 (3) | 2024.11.08 |
댓글